본문 바로가기
Investment/비상장주식

[비상장#02/케이뱅크] ⁉️고밸류 공모가 논란속에 또다시 상장철회

by MarkJacob(마크제이콥) 2025. 1. 24.

안녕하세요. MarkJacob 입니다. 최근에 상장을 준비 중이던 케이뱅크가 상장을 철회했습니다. 이 회사는 2023년에도 상장 철회를 했는데요. 어떠한 이유인지 파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케이뱅크 상장 철회 배경


케이뱅크는 2025년 1월 8일, 기업공개(IPO) 계획을 다시 한번 철회했습니다. 이는 2023년에 이어 두 번째로, 당시에도 투자심리 위축 등을 이유로 상장을 연기한 바 있습니다.

이번 결정의 주요 원인은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와 주식시장 부진으로, 기업가치를 적절하게 평가받기 어렵다는 판단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특히,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가 나오면서 공모가 희망 범위 하단인 8,500원으로 낮춰달라는 요청이 있었고, 이는 케이뱅크의 예상 기업가치인 5조 원이 고평가 되었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케이뱅크의 재무 실적과 성장


케이뱅크는 2024년 말 기준 가입자 수가 총 1,274만 명으로, 1년 만에 321만 명(33.7%) 증가하는 등 외형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2024년 1~3분기 누적 순이익은 1,224억 원으로, 2023년 연간 최대 실적(836억 원)을 9개월 만에 넘어섰습니다.

이러한 실적 개선은 케이뱅크의 수익성 강화와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보여주며, 향후 상장 재추진 시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상장 철회에 따른 시장 영향

케이뱅크의 상장 철회는 IPO 시장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대형 기업의 공모 흥행 실패는 후발 주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는 향후 예정된 대형 IPO 기업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케이뱅크는 외형 성장과 수익성 제고에 주력하며, 시장 상황이 개선되면 조속히 IPO를 재추진할 계획임을 밝혔습니다.
 

향후 전망과 전략


케이뱅크는 상장 연기에 따른 우려보다는 현재의 성장세를 유지하며 기업가치를 높이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리테일, SME/SOHO, 플랫폼 등 세 가지 부문에 대한 투자를 통해 수익성을 강화하고, 주식시장 상황이 개선되면 IPO를 재추진할 계획입니다.

또한, 안정적인 BIS 비율 등 재무 건전성을 유지하며, 상장 연기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 론


케이뱅크의 상장 철회 결정은 현재의 주식시장 상황과 기업가치 평가에 대한 신중한 판단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그러나 지속적인 외형 성장과 수익성 개선을 통해 기업가치를 높이고, 시장 상황이 개선되면 IPO를 재추진할 계획입니다. 따라서, 케이뱅크의 향후 행보는 IPO 시장뿐만 아니라 금융 산업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지속적인 관심과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합니다.



(상기의 내용은 아래의 기사를 상당 부분 참고했습니다.)

https://naver.me/FPngj7TA

케이뱅크, 상장 철회…"시장 상황 개선시 재추진"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가 기업공개(IPO)를 철회했다. 케이뱅크 IPO가 무산된 것은 지난 2023년에 이어 두 번째다. 케이뱅크가 기업가치를 제대로 평가받기 위해 현재 진행 중인 IPO를 연기하고 향

n.news.naver.com


잘 읽어보셨는지요? 철회의 이유야 그럴듯하지만 실상은 실적에 비해 공모가격이 비싼 거었고 이에 기관들의 수요예측이 실패할 듯하니 망신 안 당하려고 철회를 한 거네요. 향후 주관사와 다시 협의해서 공모밸류를 조정하고 다시 상장추진하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