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MarkJacob 입니다. 지난 2/7부터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이 시작되어서 우리 태극전사들이 쇼트트랙을 필두로 좋은 성적을 내고 있네요. 오랫동안 준비를 했기에 좋은 결실을 맺으면 좋겠습니다. 올림픽을 비롯한 국제대회에서 성적을 내면 이에 대해 포상금이나 연금이 지급되는데요. 그 제도와 금액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봤습니다.
국가대표 선수들은 국제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둘 경우, 정부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포상과 연금을 받습니다. 이러한 지원은 선수들의 노고를 인정하고, 은퇴 후 안정적인 생활을 돕기 위한 것입니다.
포상금 지급 기준
문화체육관광부는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에게 다음과 같은 포상금을 지급합니다:
🥇금메달: 개인전 6,300만 원, 단체전 4,725만 원
🥈은메달: 개인전 3,500만 원, 단체전 2,625만 원
🥉동메달: 개인전 2,500만 원, 단체전 1,875만 원
예를 들어, 2020 도쿄 올림픽에서 양궁 선수 안산은 금메달 3개를 획득하여 총 1억 5,750만 원의 포상금을 받았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NihfU/btsMa8LR5ft/Ein6EDOAEufhedGXRSsER1/tfile.jpg)
경기력향상연구연금
메달 획득 시 부여되는 연금 점수에 따라 매월 연금이 지급됩니다. 올림픽 메달의 경우, 금메달은 90점, 은메달은 70점, 동메달은 40점이 부여됩니다. 연금 점수가 누적되어 110점 이상이 되면 최대 월 100만 원의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선수가 올림픽 금메달 2개를 획득하면 총 180점이 되지만, 연금 지급 상한선은 110점이므로 매월 100만 원의 연금을 받게 됩니다.
협회 및 지자체 포상금
각 종목별 협회나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추가적인 포상금을 지급합니다. 예를 들어, 대한스키협회는 금메달 3억 원, 은메달 2억 원, 동메달 1억 원의 포상금을 지급하며, 빙상연맹은 금메달 1억 원, 은메달 5천만 원, 동메달 3천만 원을 지급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지원을 통해 국가대표 선수들은 은퇴 후에도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으며, 이는 선수들의 사기 진작과 경기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제가 조사해 보니 생각보다 연금금액이 좀 작아서 아쉬웠네요. 아무리 좋은 성적을 내도 월 100만원을 넘게 받지 못하는 건 선수들도 아쉬울 듯합니다. 하지만, 다른 일시포상금과 문체부의 포상금이 있으니 동기부여는 충분히 될 듯합니다.
이번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에서 태극전사의 선전을 기원합니다!
혹시 보다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s://naver.me/GEqOt5NA
네이버
link.naver.com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challenge/large/003.png)
'맘가는대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연일기#04] 🚭일단 초반 위기는 극복. 금연일기 2주차! (36) | 2025.02.09 |
---|---|
[맘가는대로#10] 갤러리K 폰지사기 관련 추적60분 방송되다. (12) | 2025.02.03 |
[금연일기#03] 드디어 금연🚭시작! 금연 1주차 기록. (40) | 2025.02.02 |
[맘가는대로#08] 2025년 설날🧧 행사 모음 (서울지역) (22) | 2025.01.29 |
[시사상식#05] 고속도로 실시간 교통상황 보는 방법 (20) | 202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