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vestment

[칼럼분석#04] 해운분야 탄소세 도입

by MarkJacob(마크제이콥) 2024. 11. 21.
728x90

안녕하세요. MarkJacob 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칼럼은 해운분야의 탄소세 도입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탄소세 도입과 해운 산업의 변화

IMO(국제해사기구)의 규제 강화:

2024년부터 선박 연료 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규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됩니다.

탄소세 도입으로 배출량에 따른 비용 부담이 가중될 전망입니다.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50% 감축, 2070년까지 완전한 탈탄소화 목표를 설정.


규제 구조:

기술적 조치(저탄소 연료 사용)와 경제적 조치(탄소세 및 온실가스 가격 책정)로 나뉘며, 실질적인 비용 부담이 기업에 전가될 예정.



2. ZEMBA(Zero Emission Maritime Buyers Alliance)의 역할

탄소 배출 90% 감축:

글로벌 기업들의 참여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목표로 설정.

주요 기업들은 화물선의 탈탄소화된 연료 사용과 연계해 탄소중립을 추진 중.



3. 탄소세의 글로벌 영향

EU와 IMO의 탄소세 부과 계획:

EU는 자체적으로 탄소 배출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IMO 규제와 상호작용할 가능성이 높음.

2027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맞물려 기업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4. 기업 대응 방안

온실가스 배출 비용 전가:

화주(물류 기업)와 해운 기업 간 협력이 필요.

글로벌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해 각국 정부와 민간 부문의 투자가 필수적.


기술 혁신과 투자:

저탄소 기술 개발, 인프라 구축, 대체 연료 도입을 통한 경쟁력 강화.



이 칼럼은 해운 산업이 탄소세 도입과 온실가스 규제로 인한 비용 부담 증가와 규제 준수를 위한 혁신적인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한경비지니스 5/22 자 발행본에서 발췌함)